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4

[Python] boj 14499 주사위 굴리기 https://www.acmicpc.net/problem/14499 14499번: 주사위 굴리기 첫째 줄에 지도의 세로 크기 N, 가로 크기 M (1 ≤ N, M ≤ 20), 주사위를 놓은 곳의 좌표 x, y(0 ≤ x ≤ N-1, 0 ≤ y ≤ M-1), 그리고 명령의 개수 K (1 ≤ K ≤ 1,000)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지 www.acmicpc.net 문제 N*M 보드 바닥에 숫자 찍혀있고 주사위 동서남북으로 굴리면서 칸에 숫자가 0 일 때는 주사위 바닥의 숫자를 칸에 복사 0이 아닐 때는 칸의 숫자를 주사위 바닥에 복사하고 칸은 0 K 만큼 반복 하는데 보드 범위를 넘어가는 턴은 무시하고 진행(출력x) 주의사항 주사위는 모두 0으로 놓고 시작 가로 세로 방향 확인 풀이 주사위를.. 2022. 11. 23.
[python] BOJ_9095 https://www.acmicpc.net/problem/9095 9095번: 1, 2, 3 더하기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n을 1, 2, 3의 합으로 나타내는 방법의 수를 출력한다. www.acmicpc.net 문제 1,2,3 의 합으로 n을 만드는 방법의 수 풀이 기본 dfs로 풀이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def dfs(s): global answer if s == n: answer += 1 if s >= n: return for i in range(1,4): dfs(s+i) T = int(input()) for t in range(T): n = int(input()) answer = 0 dfs(0) print(answer) 2022. 10. 30.
[python] BOJ 14500 테트로미노 https://www.acmicpc.net/problem/14500 14500번: 테트로미노 폴리오미노란 크기가 1×1인 정사각형을 여러 개 이어서 붙인 도형이며,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정사각형은 서로 겹치면 안 된다. 도형은 모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정사각형의 변 www.acmicpc.net 문제 정사각형 4개를 이어 붙여 만든 5개의 도형을 회전이나 대칭시킨 모양에 들어가는 수의 합이 최대일 때 의 값을 출력 풀이 방법 depth가 4인 dfs를 통해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를 탐색하며 max값 갱신 -> dfs ㅜ 모양은 dfs로 찾을 수 없으니 따로 이 경우를 탐색하여 계산하여 max값 갱신 -> ecase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2022. 10. 28.
03.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의 개념 프로세스 : 실행중인 프로그램 프로세스의 문맥(context) =>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 CPU 수행 상태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문맥 -> cpu에서 어디까지 수행했는가? Program Counter -> pc가 가리키는 곳을 수행하고 있을 테니 어디를 수행하고 있는지 알려줌 각종 register -> 현재 상태 cpu 레지스터에 어떤 값을 넣고 있었는가 프로세스의 주소공간 code, data, stack 프로세스 관련 커널 자료구조 PCB(Process Control Block) -> 각각의 프로세스를 운영체제가 관리하면서 가지고있는 자료구조 Kernel stack03.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의 개념 프로세스 : 실행중인 프로그램 프로세스의 문맥(context) =>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 2022. 5. 18.
02.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 -3 프로그램의 실행 (메모리 load) 프로그램은 File System에 실행파일 형태로 저장 되어있고, 이를 실행시키면 그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올라가서 프로세스(Process)가 됨. 메모리에는 운영체제의 Kernel이 기본적으로 올라가있고, 위의 사용자 프로그램들은 실행을 시켰을 때 메모리에 올라가서 프로세스가 됨. 위의 두 과정 중간에 Virtual memory 존재함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그 프로그램만의 독자적인 주소공간(Address space)이 만들어 짐 => Vertual Memory Vertual Memory는 메모리에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머릿속에 존재해서(논리적 주소) 당장 필요한 부분은 물리적인 메모리에 올라가게 되고, 그렇지 않은 메모리는 Disk의 Swap area에 내려가 .. 2022. 5. 13.
[데이터베이스] 02.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개요 DB 설계 6단계 요구 분석 개념적 DB 설계 논리적 DB 설계 스키마(DB의 논리적 구조) 정제 물리적 DB 설계 응용 및 보안 설계 ER 모델 ER 모델 개념적 설계 단계에서 필요 해당 조직체(system) 에서 개체(entity)는 무엇이고, 관계성(relationship)은 무엇인가? 무엇을 DB에 저장해야 할까? 무결성 제약조건이나, 사업 규칙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개체(Entity) 실세계에서 서로 구별되는 객체 속성 값으로 구별 ex) 회사, 부서, 직원 등 속성(attribute) 들의 집합을 사용하여 표시 => 직원(ssn, name, lot) 개체 집합(Entity Set) 유사한 개체들의 집합 개체 집합의 모든 개체들은 같은 속성(attribute) 집합 공유 각 개체집합은 ke.. 2022. 5. 6.